中 쌍순환·GVC 재편에 교역 증가세 둔화 지속 전망
올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세계교역량이 지난해에 비해 10%대 감소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바이든 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 해소는 향후 세계교역 회복에 긍정적인 요소이지만, 국가간 인적 교류 제한과 중국의 내수중심 성장전략 전환 등이 부정적 요소로 작용해 세계 교역량 증가세는 당분간 둔화될 것이라는 진단이다.
한국은행은 6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서 "세계교역량 증가 추세는 코로나 위기 이전에 비해 다소 둔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개선세를 나타내긴 했으나 올해 세계교역 10%대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1980년대 이후 통계에 따르면, 1982년(-1.6%)과 2009년(-10.4%)에 이어 역대 세번째 세계교역 감소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한은은 올해 세계교역 위축 정도는 2009년 금융위기 때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경제 성장률이 극심하게 위축됐던 점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완만한 위축 정도를 보인다고 판단했다. 제조업 부문의 타격이 컸던 2009년과 달리 올해는 교역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은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위기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한은은 미국 바이든 정부의 출범은 향후 세계교역 여건 개선에 긍정적인 요소라고 봤다. 이전까지 트럼프 정부는 무역협정 재협상, 관세·비관세조치 부과 등을 통해 강도 높은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추진해왔다. 반면 바이든 정부는 우방국과의 관계 회복, 환태평양 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 다자간 교역체제 복원 등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글로벌 통상 환경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경제의 견실한 회복도 세계교역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인프라·부동산을 중심으로 투자가 늘고 소비가 점차 개선되면서 수입 수요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 부문 역시 정보통신기술(ICT)과 의료·방역 제품을 중심으로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상품 교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투자 규모도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미국의 자본재 수주는 최근 정보기술(IT)·통신업계의 자본지출을 확대하면서 지난해 수준을 웃돌고 있다. 유로지역의 자본재 수주 감소폭 역시 점차 축소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간 인적 교류 위축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점은 부정적이라고 봤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23년에야 코로나 이전의 글로벌 해외여행 건수를 회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을 비롯한 각국 정부가 해외여행 수요를 국내로 돌리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는 점도 해외여행 정상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글로벌밸류체인(GVC)이 자국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글로벌 교역 확대를 저해할 소지도 있다. 앞서 주요 기업들은 이미 신흥국 임금 상승 등으로 국제 분업 유인이 약해지고, 브렉시트·미중 갈등 등 글로벌화에 따라 잠재 리스크가 커지면서 GVC 개편 검토에 나섰다. 이후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생산과 핵심 원부자재 조달 차질을 경험하면서 해외 생산기지 국내 복귀(리쇼어링), 부품 국산화 등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중국의 내수 중심의 성장 전략 강화 역시 글로벌 교역 확대를 제약하는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중국은 지난 10월 5중전회를 통해 첨단기술 등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립력을 키우겠다는 ‘쌍순환(双循环)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한은은 "향후 세계교역은 서비스교역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상품교역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자국 중심의 GVC 재편이 가속화되고, 중국이 내수 중심의 성장전략을 추진하면서 세계교역량 증가 추세는 코로나 위기 이전에 비해 다소 둔화될 것"이라고 했다.
https://ift.tt/2VKCpXy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한은 “코로나로 올해 세계교역 10%대 감소 전망” - 조선비즈"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