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떡볶이시장마저 넘보는 대기업…소상공인 밥줄 빼앗나 - 한국농어민신문

[한국농어민신문 주현주 기자] 

한국쌀가공식품협회와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27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대기업 떡볶이 시장 진출, 괜찮은가?’를 주제로 긴급 좌담회를 개최했다.
한국쌀가공식품협회와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27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대기업 떡볶이 시장 진출, 괜찮은가?’를 주제로 긴급 좌담회를 개최했다.

떡볶이시장 99.2%가 소상공인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이후 
가정간편식으로 급성장 불구
지난해 8월 지정 만료되자
대기업이 직접 생산까지 나서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해
대기업 진출 제한 목소리 고조

대표적인 국민 간식으로 통하는 떡볶이 시장에 대기업이 진출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전문가와 업계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안전한 먹거리와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라는 대기업의 명분이 옳지 않을뿐더러 떡볶이 시장의 99.2%가 소상공인이 차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기업이 진출한다면 시장 독점으로 인한 소비자 후생 감소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전문가들은 떡볶이떡·떡국떡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국쌀가공식품협회와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27일 서울 양재동 소재 aT센터에서 ‘대기업 떡볶이 시장 진출, 괜찮은가?’를 주제로 긴급 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긴급 좌담회에서 떡류업계와 전문가들은 떡볶이가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에 지정되기 위한 방안에 관해 토론했다.

생계형 적합업종은 2018년 제정된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기존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이 만료되는 업종과 품목에 대기업과 중견기업이 진출하는 것을 제한하는 제도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자율 규제인 반면 생계형 적합업종은 법으로 규제된다.

떡볶이떡·떡국떡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떡류 시장은 급격히 성장했다. 시장규모가 2014년 741억6500만원에서 2019년 1274억3400만원으로 71%나 성장했고, 수출규모는 2019년 5376만달러로 2014년보다 307%가 증가했다. 쌀 소비 역시 2014년(정부양곡 기준) 8만3000톤에서 10만4000톤으로 25%가 증가했다. 이는 떡류업계가 가래떡 등 소재떡 생산위주에서 떡볶이 등 가정간편식 제품으로 생산을 전환하면서 마켓컬리, 쿠팡 등 온라인플랫폼을 통해 판매를 확대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최근 5년간 시장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CJ프레시웨이, 풀무원, 대상, 오뚜기, 롯데푸드 등 대기업은 OEM 방식으로 떡류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하지만 지난해 8월 떡볶이떡·떡국떡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 기간이 만료되면서 대기업은 떡볶이를 OEM방식을 통한 유통·판매를 넘어 직접 생산까지 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실제 동원에프엔비는 아산공장에 월 300톤 생산이 가능한 수출용 떡볶이 신규공장 구축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소상공인 생계형 적합업종에 떡볶이떡·떡국떡을 지정해 대기업의 떡볶이 시장 진출을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기업 진출 시 자본력, 마케팅 우위를 통해 소상공인의 다양한 제품이 경쟁력을 잃게 되고, 소비자는 선택권 상실로 소비자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소상공인 영업이익 감소로 인한 폐업률 증가, 고용불안 등 사회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은 물론 국내 쌀 산업에도 부정적이라는 의견이다.

이날 열린 긴급 좌담회에서 떡류업계와 전문가들은 ‘대기업 떡볶이 시장진출 NO’ 구호를 외쳤다.
이날 열린 긴급 좌담회에서 떡류업계와 전문가들은 ‘대기업 떡볶이 시장진출 NO’ 구호를 외쳤다.

황선옥 소비자시민모임 상임고문은 “소상공인 업체들은 우리나라 쌀 소비와 전통식품의 활성화를 통해 국내외에서 다양한 가정간편식 떡볶이 제품을 출시해 왔다. 하지만 가정간편식 출시로 떡볶이 시장이 커지니 대기업도 떡볶이 시장에 진출해 숟가락을 얹겠다는 것이다”며 “소비자 윤리 관점에서 대기업의 독점을 막고 소상공인을 보호·육성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상효 국제농산업개발원 식품전문위원 “국내 떡볶이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다. 대기업의 참여로 떡볶이 시장 전체가 획기적으로 증대할 것이라는 주장은 허울 좋은 명분에 불과하다”면서 “게다가 생계형 적합업종은 내수만 해당한다. 대기업은 수출에 한정해 진출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김명진 아셀떡 대표는 “대기업의 주장대로라면 시장 진입 목적이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라고 하지만, 이미 떡볶이는 해썹 의무품목으로 소상공인들도 안전한 위생 시설을 갖추고 있다"며 "수출 확대를 위해 국내시장에서 제품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면 현재처럼 OEM 방식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관련 단체도 떡볶이떡·떡국떡을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할 필요성에 공감했다. 특히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정부 협업을 통해 떡류 시장을 감시·육성해야한다는 제언이다.

심상욱 중소기업중앙회 상생협력부장은 “떡볶이떡를 생계형 적합업종 지정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지역에서 떡볶이떡을 제조하는 소상공인들이 가정간편식 시장에 진출, 소비자의 선택권이 증가하고 소비자 후생을 높이는 동시에 관련된 쌀 산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체 효익이 높아졌기 때문이다”면서도 “반면 대기업이 가정간편식 시장 진출 이후 소상공인 제품이 시장에서 배제된다면, 소비자 후생이 감소할 가능성이 크고, 일자리 등을 고려할 때 경제의 건강한 하부구조를 만들 기회를 잃게 된다”고 말했다. 류필선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 실장은 “떡볶이떡이 생계형 적합업종으로 지정된 이후에도 시장 감시, 보호 이후 육성방안에 대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현주 기자 joohj@agrinet.co.kr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떡볶이시장마저 넘보는 대기업…소상공인 밥줄 빼앗나 - 한국농어민신문 )
https://ift.tt/2SbX1t3
시장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떡볶이시장마저 넘보는 대기업…소상공인 밥줄 빼앗나 - 한국농어민신문"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