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1년 11월 01일 17:11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술보증기금이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최초로 수요예측 시험대에 섰다. P-CBO는 수요예측 의무가 없지만 기술보증기금은 투자 저변 확대 등을 위해 과감히 첫 도전에 나섰다. 'AAA' 안정성 등을 바탕으로 투자층 확장과 동시에 금리 절감 효과 등을 겨냥할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린다.최근 시장금리 급등 등으로 투심 위축세가 가속화되고 있는 점 등은 변수다. 기관들이 채권 운용 손실 등을 지속하고 있는 탓에 일반 회사채는 물론 AAA 크레딧물조차 소화가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무난한 수요 확보를 예상하면서도 강세 발행 등에 대해서는 의구심을 드러냈다.
◇P-CBO 최초 수요예측 도전, 'AAA' 최고 신용도 강점
특수목적회사(SPC) 2021기보제이차유동화전문유한회사는 오는 2일 P-CBO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 나선다. 모집액은 670억원이다. 만기는 2년 단일물이다. 발행일은 내달 9일이다.
2021기보제이차유동화전문유한회사는 기술보증기금이 P-CBO를 찍기 위해 만든 SPC다. 기술보증기금은 SPC를 만들어 매년 두세 차례 P-CBO를 발행해왔다. SPC가 발행하는 유동화증권이라는 점에서 수요예측 의무가 없지만 기술보증기금은 이번 발행에서 P-CBO 최초로 도전에 나섰다.
기술보증기금이 수요예측 시장을 겨냥한 건 투자 저변 확대 등을 위해서다. 기술보증기금의 경우 연간 두 세차례 P-CBO를 찍는 데 불과해 비교적 시장 친숙도가 낮았다. 수요예측을 실시할 경우 연기금과 같은 대형 기관은 물론 자산운용사 등 각종 투자자의 참여를 이끌 수 있다.
탄탄한 투자 기반 등을 확보할 경우 금리 절감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다. P-CBO는 그동안 기술보증기금의 보증 등으로 'AAA(sf)' 등급을 인정받고도 동일 등급 회사채 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해왔다. 올 5월 발행한 해당 채권 역시 유사 만기의 AAA 공모 회사채 민평 수익률 대비 6bp 높은 수준을 형성했다.
실제로 기술보증기금은 이번 발행에서 희망 밴드를 2년물 AAA 회사채 민평 대비 최대 20bp 낮게 제시할 전망이다. 동시에 희망 금리 상단을 기준점 대비 7bp 높은 수준으로 설정해 시장 변동성에 대한 대응력 또한 드러냈다.
P-CBO는 저신용등급 기업의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발행되는 자산담보부증권(ABS)으로, 2000년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조달 지원 등을 위해 도입됐다.
신용등급이 낮아 시장성 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의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삼되,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이 보증을 제공해 신용도를 보강한다. 이번 P-CBO의 경우 83개 기업의 무보증회사채 약 686억원 가량을 기초자산으로 설정했다.
◇시장 변동성 고조, 투심 위축 가속…최고 신용도, 불안감 보완
최근 급격한 시장금리 반등 등으로 투심 위축세가 가속화되고 있는 점은 관전 포인트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자 시장금리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른 채권 투자 기관들의 운용 수익률 저하 등으로 투자 심리 또한 한풀 꺾인 모습이다.
싸늘해진 투심 등으로 'AAA' 회사채조차 소화가 쉽지 않아졌다. 최고 신용등급을 자랑하는 한국동서발전은 지난달 27일 진행한 회사채 입찰에서 당초 발행 예정액인 2800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300억원 수준의 수요를 확인하기도 했다.
P-CBO 최초의 수요예측에 나선 기술보증기금의 부담이 높아지는 배경이다. 다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투자 열풍 등으로 반환경 논란에 휘말렸던 발전사와 달리, 기술보증기금은 이같은 이슈에서 비껴가있다.
'AAA(sf)' 최우량 신용등급인데다 다양한 기관의 참여를 이끌 수 있다는 점에서 완판은 무리없이 이뤄질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기술보증기금 P-CBO의 경우 과거 소수의 투자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마련했다. 다만 이번 수요예측에선 투자 기관 확대 등으로 시장 변동성을 일부 상쇄시킬 전망이다.
저금리 발행 등을 성사시킬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업계 관계자는 "기술보증기금P-CBO의 경우 금리가 높아 수요 확보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시장금리 상승 등으로 1년 사이 손실을 보지 않은 채권 구간이 없다는 점에서 기관들이 강하게 주문을 넣긴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및 더 읽기 ( 국내 최고 자본시장(Capital Markets) 미디어 - 더벨(thebell) )https://ift.tt/3GNBJab
시장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국내 최고 자본시장(Capital Markets) 미디어 - 더벨(thebell)"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