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기업들이 세포유전자치료제 핵심 원료인 ‘바이럴 벡터(Viral vector)’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생산 시설 구축에 앞장서고 있다.
바이럴 벡터는 3세대 항암제로 불리는 'CAR-T 세포치료제' 등 유전자 조작이 동반되는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핵심 원료다.
특히 아시아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면서 한국 기업들은 아시아 내 바이럴 벡터 공급 부족이 한동안 이어질 것으로 보고 생산시설 확충을 통해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올해 코스피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5일 공시를 통해 아시아 지역을 타깃으로 한 cGMP 파일럿(Pilot) 생산설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상장을 통해 조달된 자금을 생산시설 확충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아시아 시장 내 지속적인 바이럴 벡터 공급 부족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사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현재는 사업 구상 단계로 구체적인 시설 규모 및 구축 시기 등에 대해서는 향후 구체화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앞서 차바이오텍은 지난해 12월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를 통해 cGMP 시설 구축을 본격화하기도 했다. 마티카 바이오는 미국 텍사스 주 칼리지스테이션 시에 cGMP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공장부지 리스 계약을 완료하고 공장 설계에 착수했다.
올해 말 완공 예정인 마티카 바이오의 cGMP시설에는 바이럴 벡터 생산을 위한 500L 용량의 바이오리액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마티카 바이오는 미국 등 글로벌 고객사들을 대상으로 바이럴벡터 개발 및 제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마찬가지로 차바이오텍 또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차바이오텍은 미국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통해 기술과 경험을 축적한 뒤 사업을 아시아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차바이오텍 관계자는 “현재 국내에서 건립 중인 제2판교 테크노밸리 GMP시설 또한 바이럴 벡터 등 세포유전자치료제 사업을 위한 것”이라며 “미국 생산 시설과 연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 및 더 읽기 ( 韓 바이오기업들, 아시아 '바이럴 벡터' 시장 정조준 - 청년의사 )https://ift.tt/3p1bZwL
시장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韓 바이오기업들, 아시아 '바이럴 벡터' 시장 정조준 - 청년의사"
Post a Comment